[입문자 튜토리얼] - C언어 소스 코드 파일 분리 2편 (feat. 헤더파일)
·
IT/튜토리얼 및 가이드
지난 시간에는...지난 시간에는 어떤 게 알아보기 어려운 코드인지, 그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또 그걸 해결하기 위한 "코드 깔끔하게 짜는 법"을 알아보았다."한 파일안에 코드 줄 수가 너무 많다고요? 그러면 나더러 어떻게 하란거에요. 뭐 다른 방법이 있나요?"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자, 저번에서 그 한 파일에 있던 코드들을 1. 배열을 이용한 함수, 2.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함수, 3. 메인함수와 그 외의 함수라는 총 3가지의 분류로 나누어, 각각을 따로 파일에 담았다하자. 그럼에도 아직 문제가 남아있다. "파일을 여러 개로 나눠요? 그러면 main.c 파일에서 어떻게 다른 파일의 함수를 읽어오나요? 게다가 컴파일은 어떻게 해요?" 사용자 정의 헤더파일우선, 코드를 길게..
[입문자 튜토리얼] - C언어 소스 코드 파일 분리 1편 (feat. 코드를 깔끔하게)
·
IT/튜토리얼 및 가이드
서론사실 이 포스팅을 쓰게 된 것에는 깊은 사연이 있다... 얼마 전 지인의 팀플 코드를 같이 디버깅해본 적이 있다. 이때 나는 약간 충격을 받았다. 코드가 어려워서? 그것도 조금은 있겠지만.... 제일 큰 이유는 한개의 소스 파일에 1200줄 이상 들어있는 코드와...기능이 각기 다른 수십 개의 함수가 main.c라는 한 개의 파일에 뒤섞여서 코드의 흐름을 알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특히나 나는 그 코드를 같이 짠 것도 아니고 처음 읽는 입장이니까 더욱 코드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코드 파악에만 몇 시간이 걸렸다. 사실 예전의 나는 오히려 그것보다 훨씬 코드를 정말 어지럽게 짜고 함수를 나누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절대 뭐라할 수 없는 일인 것 안다. 그렇지만 코드를 깔끔하게 짜는 법은 절대 학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