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 소개 | About Me
🎓 학력
-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학사
- 학교: 한국항공대학교
- 졸업: 2025년 2월 (우등 졸업, GPA 3.91 / 4.5)
🎯 관심 분야 - Infra 및 DevOps
기존에 경험한 자동화와 서비스 개발을 바탕으로, 인프라 설계, 시스템 자동화, 서비스 운영 효율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지속적인 통합·배포 환경 구축과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 운영에 중점을 두고 커리어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Core Experiences
기술 스택은 단순한 습득이 아닌, 직접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문서화·공유까지 한 경험 중심입니다.
분야 | 기술 및 활동 |
클라우드 / IoT | Azure (Terraform, ARM, Node.js Functions, Azure IoT) AWS IoT (MQTT, Lambda, Device Shadow, ESP32) GCP (Python Discord Bot 배포) |
테스트 자동화 | Go, Python, Shell, Docker 기반 데이터 처리 및 시각화 |
CI/CD 운영 | Fastlane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앱 빌드 및 배포 자동화 |
시스템 개발 | C, Unix CLI, Git 기반의 시스템 코드 작성 및 리뷰 |
오픈소스 기여 | Ren'Py 서드파티 도구 개발 및 배포 (파이썬), README/튜토리얼 제작, 사용자 피드백 대응 |
UI 문서화 | Storybook 기반 TypeScript 컴포넌트 문서 및 테스트 환경 구축 |
글로벌 협업 | 다국적 팀 프로젝트에서 PM 및 개발 리더 역할 수행 (Notion/Trello/Discord 기반 협업) |
🔗 포트폴리오
현재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진행 중입니다. (2025.05.15 - 썸네일 이미지까지 추가 완료, 배치 수정 완료, 경력자 피드백을 받아 추가 보완 예정)
남서아 개발 포트폴리오 (Infra & SA 지원) | Notion
Made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
educated-tarsier-f16.notion.site
🧩 경력 흐름 요약
시기 | 주요 활동 |
1–2학년 | 자동화 스크립트 및 시스템 실험 도구 개발, CLI 환경 익숙화 |
3–4학년 | 웹/모바일 기획 및 구현, 게임개발 및 도구 오픈소싱 |
졸업 이후 | 클라우드 기반 IoT 통합 프로젝트 리딩 및 시스템 설계 |
🧠 성격 및 협업 스타일
- 책임감과 헌신: 맡은 역할은 끝까지 책임지는 편
- 실행력: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체화하고 문제를 직접 해결
- 리더십: 프로젝트 구조 설계 및 팀 조율 경험 다수
- 자기성찰: 문제 상황에서 원인 분석과 개선을 습관화
✍️ 참고 - 연도 별 회고 포스팅 계획
졸업 이후 외부 프로젝트까지 마무리된 지금, 본격적으로 이력서 제출과 커리어 재정비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경험이 흩어져 있다 보니, 단순히 항목만 나열한 이력서로는 저의 흐름과 의도를 전달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연도별로 정리하면서 그 시기의 고민과 선택 과정을 돌아보고자 합니다. (현재 일기형식으로 쓴 글은 비공개 -> 직무 경험 및 적용 관점에서 재정비하여 공개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