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2beroot] monitoring 파트 정리2
·
IT/42Seoul
[평가시트 원문] 더보기 더보기 Script monitoring Remember: Whenever you need help checking something,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hould be able to help you.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hould explain to you simply: How their script works by showing you the code. What "cron" is. How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et up their script so that it runs every 10 minutes from when the server starts. Once the correct ..
[born2beroot] monitoring 파트 정리1
·
IT/42Seoul
[평가시트 원문] 더보기 더보기 Script monitoring Remember: Whenever you need help checking something,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hould be able to help you.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hould explain to you simply: How their script works by showing you the code. What "cron" is. How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et up their script so that it runs every 10 minutes from when the server starts. Once the correct ..
[born2beroot] 개념 정리 - 프로젝트 개요
·
IT/42Seoul
[원문] 더보기 더보기 Project overview The student being evaluated should explain to you simply: How a virtual machine works. Their choice of operating system. The basic differences between CentOS and Debian. The purpose of virtual machines. If the evaluated student chose CentOS: what SELinux and DNF are. If the evaluated student chose Debian: the difference between aptitude and apt, and what APPArmor is..
[GET_NEXT_LINE] 구현 예시
·
IT/42Seoul
혹시나 문제가 된다면 바로 비공개 처리하겠습니다. 지적이나 댓글 환영합니다! 그저께 get_next_line의 구현을 끝내고 어제오늘 평가를 받아, gnl 과제를 보너스 점수 포함 115점으로 통과했다. 코드에 대한 이해가 낮아지기 전에 어서 코드리뷰를 하도록 해야겠다. 우선, get_next_line 과제에서는 3개의 파일을 구현하게끔한다. get_next_line.c, get_next_line_utils.c, get_next_line.h 를 구현해야한다. 보너스 파트에서는 여러개의 fd를 사용하여도 각 fd의 내용에 대한 스레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이 경우에는 static 변수를 2차원 배열로 만들면 해결된다. 따라서 보너스 파트와 기본 파트의 함수 구성을 똑같이 하였으므로 보너스에 대한..
[GET_NEXT_LINE] 구현 준비
·
IT/42Seoul
혹시나 문제가 된다면 바로 비공개 처리하겠습니다. 지적이나 댓글 환영합니다! 과제 중에 동료평가용 설명 정리 차원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기 때문에, 통과 완료 전까지는 계속 글을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로, 이 포스팅의 중요한 본론은 (5), (6), (7) 부터 나옵니다. libft가 조금 늦게 끝난 감이 있지만, get_next_line을 지금이라도 구현하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처음에 get_next_line을 보고 좀 난감하다는 생각을 했다. 예를 들자면, "1줄씩 자른다" 라는 것은 문자열 포인터로 전체 문단이 주어진 경우에는 쉽다. 문자 "\n"를 기준으로, while문을 처음부터 문자열 끝까지 돌며 strdup() 함수 등을 사용하며 문자열을 분리해주면 ..
Libft 과제 시 유의점 (테스터기, protected, Makefile)
·
IT/42Seoul
libft나 다른 하위 서클 함수들은 주로 어떤 정해진 것을 구현하는 문제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깃허브에 libft 과제를 뮬리넷(42채점 서버)처럼 테스트 할 수 있는 테스터기가 있다. 이 테스터기들을 통해 미처 하지 못한 예외처리나 필수사항의 구현을 체크하여 코드를 보완할 수 있다. 아주 중요하다. * 테스터기 - 내가 주로 쓴 테스터기는 4가지가 있다. 1) Libftest 2) libft-unit-test 3) libft-war-machine 4) libftester 깃허브에 쳐보면 이 외의 더 많은 테스터기들도 다 나온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이렇다. 일단 해당 깃 레포지터리를 깃클론 받는다. 그다음 libft-unit-test와 libftester에서는 그 안의 Makefile에 있는 평가할 ..